AVIATION
-
Supplemental Oxygen, 산소 공급량 요구량, 의식시간
고고도 및 비행에 있어서 산소는 우리의 의식과 관련한 중요한 요소임물론 고고도가 아닌 곳에서도 이산화탄소, 높은 G, 약복용, 흡연, 알콜 등 때문에 산소부족 (Hypoxia) 는 발생 할 수도 있음야간 비행시, 6,000ft 이상에서 산소 공급장치 사용을 추천 하고 있음 https://www.faa.gov/pilots/safety/pilotsafetybrochures/media/hypoxia.pdf Time of Useful Consciousnes (유효 의식시간) 책마다 다르긴 하지만 보통20,000 ft 미만 30분 이상30,000 ft 1 - 2 분 (국내선 평균 순항고도)40,000 ft 15 - 20초 (국제선 평균 순항고도)50,000 ft...
-
Hydroplanning (수막현상)
자가용, 사업용 기출 단골 문제구술로도 물어보기 쉬운 명료성계산 문제 가끔 나옴앞에 상수가 책에 따라 8.6, 8.73 or 9로 나옴 당황하지 말고 근사값 찍으면 됨 [ 8.6√psi / 8.73√psi / 9√psi ] 일반적으로 상식선으로 알고 있는 수막 현상의 detail 한 version가장 큰 concept 은 마찰력 감소로 loss of controll=> 접지 속도 낮춘다, Braking action 약하게, 최대한 바퀴를 회전 할수 있게 해준다 3가지 있다는 것 기억Dynamic / Viscos / Reverted rubber Hydroplaning Dynamic HydroplanningLanding Surface 에 standing water 가 있는 것tire 의 trea..
-
Approach Category (FAA, ICAO) 어프로치 카테고리 접근 카테고리
항공기가 공항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속도를 규정 항공기 성능은 Airspeace 와 시정에 영향을 받는다항공기 성능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항공기의 속도 이다 계기접근시 항공기 성능과 공역의 설정에 따라 각각의 카테고리가 설정되어 있다접근 중 Go around 수행 시 문제가 없도록 설정 Vref 라는 V speed, refference speed 로 근거를 둔다Vref 이 명시 되어있지 않는다면, 최대인가착륙중량(Certified Maximum Landing Weight) 에서1.3 x Vso / 1.23 x Vs1g (1g load factor 일때 stall speed)Vso 및 최대 인가착륙중략은 항공기 등록국의 가 당국에 의해 항공기를 위해 설정한 수치 이다. 속도 범위의 상한선을 초..
-
Decleared Distance (ASDA, LDA, TODA, TORA)
ASDA (Accelerate Stop Distance Available, 가속정지가용거리) (ASDA = RWY + Stopway)이용 가능한 이륙활주 길이, 제공 된다면 STOP WAY 길이 합한것 *STOPWAY/Blast Pad : RWY Marking 중 노란 갈매기 모양, 지상 활주, 이착륙을 위해 사용 할수 없음. 이륙 단념시 감속 또는 정지 위한 정지로 *Clearway : 항공기가 일정 고도 까지 안전하게 이륙 할수 있도록 지상 장애물 제한 구역. 활주로 끝에서 시작. 비상시 사용 가능한 구역최대 가용 활주로 길이의 절반 이하, 폭 : 활주로 중앙선에서 75m 이하, 장애물 없이 Up slope 1.25% 이하 LDA (Landing Distance Available) (LDA =..
-
ICAO and ANNEX
ICAO :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국제민간항공기구, 시카고 조약, 법률 및 규칙, 실시 절차, 실행을 위한 조직, 기구에 관한 통일적 기준을 보여준다. 노선협정, 편수, 운임에 대한 심의 등 포함 ANNEX 의 구성국제민간항공조약 (시카고조약), 37조 국제표준 및 절차의 채택, 54조 이사회의 임무, 90조 부속서의 채택 및 개정 을 근거로 제정ANNEX 1 ~ 191 : 항공종사자의 면허2. 항공교통 규칙3. 항공기상4. 항공지도5. 공지통신에 사용되는 단위 (Units of Measurement to be Used in air and ground operations6. 항공기 운항 (Operation of aircraft)7. 항공기 국적 및 등..
-
Airplanes and Aerodynamics
Summary1.1 FlapsMain functions : During approach and landing, increase angle of attack. causes the wing to produce the same amount of lift at a slower airspeed.1.2 Airplane WingsSpoilersmany mordern turbojets have, top of the wing can be deployed automatically or PIC to disrupt airflow and destroy liftjust after landing, spoiliers allow the brakes to be more effective.Rectangular wings generally..
-
항공안전장애의 범위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20의 2)
항공안전장애범위는 2009년 9월 10일에 신설된 조항입니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34조 항공안전 의무보고의 절차 등 에 따라 항공안전장애의 범위는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20의 2 항공안전장애의 범위 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20의 2 pdf 다운받기 항공안전장애는 항공기 사고 항공기준사고 외에 항공기 운항 및 항행안전시설과 관련하여 항공안전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우려가 있었던 것으로 항공기와 관제기관 간 양방향 무선통신이 두절 된 경우 항공법 시행규칙 별표20의 2에 명시된 사항을 말합니다 비행중 항공기간 분리 최저치가 확보되지 않았거나 공중충돌경고장치 회피기동 (ACAS RA) 이 발생 한 경우 관제기관 항공기 감시 장비에 근접충돌경고가 표시된 경우 (관제사가 관련 규정에..
-
IAS, CAS, EAS, TAS, GS 항공기 속도의 종류
자동차와 달리 비행기에는 계기로 보여지는 속도 외의 다양한 속도의 종류가 있습니다 오늘은 항공기 속도의 종류와 내용을 알아보자 합니다 IAS (Indicated Airspeed) 항공기에는 Pitot tube (피토관) 과 Static Port 가 있습다 이것을 통해 측정되는 속도 인데 항공기 계기에 표시 되는 속도입니다 지시 속도 라도고 합니다 CAS (Calibrated Airspeed) 고도나 나침반 (Magnetic Compass) 도 그렇지만 계기가 설치된 위치나 Pitot-Static system 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오류가 발생 합니다 예를 들면 IAS 의 경우 항공기 PITCH 의 상승, 하강에 따라 pitot tube 에 들어가는 공기 압력의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오류를 보정 ..
-
Airport sketches 와 Airport Diagrams (미국공항, 국내공항)
Departure procedure 를 수행 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항의 모습을 대략적으로 알아야 합니다 Airport Sketche 미국에서는 모든 Approach chart 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부에 Airport Sketche 를 통해 간략하게 RWY, Length, Width, Slope, Touchdown zone elevation, lighting system 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Airport Diagram Airport Diagram 에 더욱 자세한 활주로 정보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Taxiway, 공항의 latitude, longitude, 공항 시설물 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미국의 경우 www.aeronav.faa.gov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irp..
-
젭슨 차트 상 E> 표시, 심볼은 무엇일까 ?
젭슨 차트를 보다보면 여러가지 처음보는(?) 심볼을 마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늘은 E> 표시, 심볼, Symbol 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심볼의 의미 젭슨의 Introduction to Jeppesen Navigation Chart 에 따르면 이 심볼은 NonStandard Flight Levels (EvenFlight Levels In Directionindicated) 입니다 위의 차트를 근거로 하여 항공기가 동쪽비행하는 경우 기존 홀수의 고도를 사용 하는 것이 아닌 Even Number, 짝수 고도를 사용 하여 비행 하는 것 입니다 MEA 는 FL90 35번에 따르면 4500T, MOCA (Minimum Obstacle Clearance Altitude) 가 4500 ft 인 것을 알수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