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세계적으로 베스트 셀러인 세스나항공기 (C172) 가 훈련기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스나 항공기의 외부점검, 취급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점검 개요
제작사의 메뉴얼을 근거로 한 각 기관의 체크리스트 (CHECK LIST) 가 존재합니다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매 비행마다 실시 해야 합니다
외부점검 순서 제작사에서 외부 점검 순서를 명시 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좌측 -> 후방 -> 우측 -> 전방 -> 좌측 순으로 진행 합니다
실내 계기판 체크리스트 마다 조금씩 상이하지만 기본적으로
DOOR 를 열고 BATTERY 를 ON 하여 기본적인 전자기기의 작동 유무, 연료량을 확인 하고
외부등을 모두 키고, FLAPS 을 작동시켜 외부 점검을 준비 합니다
내부 점검
PARKING BRAKE 확인
PARKING BRAKE 가 SET 상태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SEAT 에 앉아 FOOT BRAKE 를 밟은 상태로 당기고 아래를 향하도록 합니다
케이블 방식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면 케이블이 끊어질수 있습니다
PARKING BRAKE SET PARKING BRAKE RELEASE 상태 CONTROL WHEEL LOCK REMOVE
PIN 형태로 되어 요크 (YOKE) 가 바람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후 외부점검시 CONTROL SURFACE 가 잘 움직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WHEEL LOCK 을 제거 합니다
CONTROL WHEEL LOCK IGNITION SWITCH
시동이 걸리게 하는 장치로 외부점검시 사고를 방지 하기 위해 OFF POSITION 에 있는지 확인 합니다
INGNITION SWITCH (MAGNETO SWITCH) FUEL QUANTITIY (연료량 확인)
항공기를 운항하기 위해서는 연료가 필요 하므로 연료량을 확인합니다
CONVENTIONAL TYPE (6-PACK) 의 경우 항공기 패널 좌측에 위치 하고 있습니다
FUEL QUANTITY INDICATOR (LEFT) STATIC PRESSURE ALTERNATOR SOURCE VALVE
STACTIC PORT 가 막혔을 시 사용하는 장치로 THROTTLE 아래 붉은색 VALVE 입니다
PUSH 상태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ANNUNCIATOR PANEL
각종 상태 및 경고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모든 상태등이 들어오는지 확인 합니다
ANNUNCIATOR PANEL 외부등
외부 점검시 외부등이 정상작동 하는지 확인 하기 위해 모두 ON POSITION 에 놓습니다
보통 SWITCH 의 위가 ON, 아래가 OFF 입니다
EXTERIOR LIGHT SWITCH NAV LIGHT (항행등) WING FLAPS
FULL POSITION 에 위치시키고 외부점검시 FLAPS 이 FULL POSITION 인지 확인 합니다
FLAPS INDICATOR WING FLAP FUEL SELECTOR
가운데인 BOTH POSITION 에 위치 시킵니다
FUEL SELECTOR VALVE FUEL SHUTOFF VALVE
긴급 연료 제한 장치 입니다
들어간 상태가 ON 상태이고, 뽑혀져 있는 상태가 OFF 상태 (FUEL CUT) 입니다
FUEL SHUTOFF VALVE 외부 점검
내부점검 시 작동시킨 LIGHT 등을 확인하고
외부 동체의 상태 (리벳, 나사 체결 상태, 케이블 상태, 찌그러짐, 오일누유 등) 을 확인합니다
BAGGAGE DOOR
필요시 사용 후 DOOR 을 잘 닫고, KEY 로 잠궈 줍니다
TRIM TAP
항공기 후미의 ELEVATOR 우측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ELEVATOR 을 위아래로 움직이며 TRIM TAB의 움직임을 확인합니다
조종석 내에서는 TRIM WHEEL 로 TRIM 을 CONTROL 할 수 있습니다
TRIM ANTENA
기체에 설치되어 있는 OPTION 별로 안테나의 위치나 모양이 상이 할 수 있습니다
안테나의 모양을 확인 합니다
TAIL SKID
이 착륙 시 과도하게 항공기가 상방을 향할 경우 (NOSE UP) 항공기 후미가 땅에 닿을 수 있습니다
기체의 손상을 방지 및 확인 하기 위한 용도로
TAIL SKID 하단부에 스크레치 유무와 휜 정도를 확인합니다
TAIL SKID TIRE
항공기 타이어의 공기압, 스크레치 등의 육안 검사를 시행 합니다
FUEL
앞서 내부 계기로만 확인하였던 연료를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DRAIN HOLE (날개 하단, 기체 앞 하단) 을 통해 SAMPLE FUEL 을 확인 합니다
연료의 불순물, 수분을 확인 합니다
DRAIN HOLE (WING) FUEL DRAINER FUEL STICK 으로 연료량을 육안 확인합니다
FUEL STICK 은 기종별 상이 하므로 사용시 기종에 맞는 STICK 인지 확인합니다
FUEL QUANTITY ENGINE OIL
엔진 오일의 색, 양을 확인합니다
OIL STICK 에 보통 숫자가 써있어서 양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확인 후, CAP 을 너무 세게 잠그지 않습니다 (비행 후 압력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음)
ENGINE OIL DIP STICK 항공기 전방
ENGINE FRONT 전방에서 프로펠러와 SPINNER 의 상태, INTAKE 의 이물질 여부를 확인합니다
STATIC PORT
STATIC PORT 의 막힘 여부를 확인합니다
STATIC PORT CONTROL SURFACE
항공기 좌우측, 후미의 CONTROL SURFACE (리벳, 볼트 체결, 케이블, 눈, 얼음 등) 을 확인하고
걸림 없이 자유롭게 움직이는지 확인합니다
PITOT TUBE (피토관)
좌측 날개에 위치한 PITOT COVER 를 제거 하고 내부에 이물질 여부를 확인 합니다
PITOT TUBE (피토관) 등록 부호 및 동체 확인
등록부호 등록부호를 확인하고 동체의 리벳, 나사, 찌그러짐 등을 확인 합니다
위 사진의 등록부호는 항공기 동체에 (F-HATZ) 표기 되어 있습니다
나라마다 등록부호는 상이 하고
미국의 경우 N 으로 시작하는 등록부호
한국의 경우 HL 로 시작되는 등록부호가 표기 되어 있습니다
반응형'AVIATION > PP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에 작용 하는 힘 (0) 2022.06.21 조종사가 되는 방법 (0) 2022.06.12 항공기 탑재 서류 (0) 2022.06.09 국내 비행 교육 기관 (0) 2022.06.08 자가용 (PPL) 공부 방법 (0) 2022.06.08